제7화
전에는 보청기를 끼지 않아도 아주 조금은 소리가 들렸으니까.
채시아는 몸을 천천히 일으키고는 어젯밤 머리맡에 놓아둔 약을 입에 넣었다.
그녀는 어제 3년간 살던 청림 별장에서 나온 다음 일단 본가로 돌아갔다.
그런데 막 집 앞에 도착해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려는데 안쪽에서 최익순과 채선우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어떻게 내 배에서 그딴 애가 나왔지? 3년이야. 3년이나 함께 살아놓고 여태 윤성빈이랑 잠자리를 못 했대! 그런데 그래놓고 뭐? 이혼? 자기가 이혼이라는 단어를 꺼낼 주제가 돼? 3년간 제대로 된 여자도 못 돼놓고! 내가 정말 얼마나 열불이 나던지!”
최익순의 말은 채시아의 마음을 아프게 후벼팠다.
제대로 된 여자란 건 뭘까?
남편에게 사랑받는 여자? 아니면 아이를 낳은 여자?
“나도 어떻게 채시아 같은 게 내 핏줄인지 이해가 안 될 때가 많아. 근데 윤성빈의 첫사랑이 돌아왔다며? 그럼 어차피 채시아가 이혼 얘기를 안 꺼내도 조만간 내쫓기게 될 거 아니었어?”
채선우는 그녀를 아예 누나 취급도 해주지 않았다.
“엄마, 그래서 말인데 얼마 전에 이용준 회장 와이프가 갑자기 죽었다고 했잖아. 그 자리에 채시아를 보내는 거 어때? 채시아가 하자가 있기는 하지만 70 넘은 노인네도 자기 나이를 생각하면 오히려 땡큐지. 안 그래?”
채시아는 두 사람이 나눴던 대화를 떠올리며 눈을 질끈 감았다. 머릿속이 다 더럽혀지는 기분이었다.
“생각하지 마. 뭣 하러 그 둘을 떠올려.”
그녀는 잡생각을 떨쳐내기 위해 휴대폰을 집어 들었다. 그러다 마침 몇 분 전에 장명호가 보낸 문자를 보게 되었다.
[윤성빈 씨한테 협의서 전해줬어요. 그런데 태도가 영... 나는 시아 씨가 앞으로는 다른 사람 말고 시아 씨를 위한 생각을 더 많이 했으면 좋겠어요.]
[네, 그럴게요. 고맙습니다.]
답장을 보낸 후 채시아는 다시 침대에 누워 멍하니 천장을 바라보았다.
그녀가 자신의 마지막 재산까지 전부 다 윤성빈에게 넘긴 건 대단히 고상한 이유가 있어서는 아니고 그저 그에게 더 이상 빚지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물론 채선우와 최익순이 빼돌린 금액을 전부 다 토해내지 않는 이상은 사기 결혼이라는 죄목에서 자유로워질 수 없겠지만...
이틀이나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도 채시아는 조금도 허기진 감각을 느끼지 못했다.
그저 주위가 너무 조용하다는 느낌만 자꾸 들 뿐이었다.
채시아는 이 고요함이 싫어 보청기를 끼고 약도 다시 먹었다.
그런데 약효가 들 시간이 됐는데도 아무것도 들리지 않았다.
채시아는 이대로 가다가는 윤성빈에게서 걸려온 전화도 듣지 못할 것 같아 서둘러 모텔에서 나와 근처에 있는 병원으로 향했다.
의사는 제일 기본적인 검사를 해주다가 그녀의 외의도에 피가 말라붙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검사를 마치고 한차례의 치료를 받은 후, 채시아의 청력은 그제야 다시 회복됐다.
“청력에 문제가 생긴 지는 얼마나 됐습니까?”
의사의 말에 채시아는 사실대로 얘기했다.
“태어날 때부터 난청으로 태어났어요.”
의사는 그 말에 조금 놀란 표정을 지으며 다시금 그녀를 훑어보았다. 워낙 꽃 같은 나이이기도 했고 무엇보다 아까 진료실로 들어왔을 때 전혀 청력에 문제가 있어 보이지 않았으니까.
“채시아 씨, 이대로 가다가는 청력을 완전히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보청기를 껴도 소용이 없을 겁니다.”
채시아는 마치 목구멍에 뭔가가 걸리기라도 한 것처럼 아무 말도 나오지 않았다.
그러자 의사가 다시금 입을 열었다.
“병원까지는 혼자 왔어요? 가족이나 친구는 같이 안 왔어요?”
가족이라는 말에 채시아는 그녀를 마음 깊이 싫어하는 최익순과 70 넘은 노인에게 누나를 팔아먹으려는 채선우를 떠올렸다가 3년이나 함께 했는데도 여전히 그녀를 혐오하고 경멸하는 윤성빈을 떠올렸다.
그러다 마지막으로 임종 전에 근심이 가득 서린 눈빛으로 그녀를 바라봐주었던 채건우의 얼굴을 떠올렸다.
“내가 이대로 가면 우리 시아 이제 어떡하나... 우리 시아 두고 이대로 가고 싶지 않은데...”
채건우는 의료 기기들에 가득 둘러싸여 있던 마지막 순간에도 오직 딸 걱정뿐이었다. 자신이 이대로 떠나버리면 그녀를 챙겨줄 사람은 한 명도 없게 된다는 것을 너무나 알고 있었으니까.
채시아는 울컥하는 마음을 애써 삼키며 힘겹게 말을 뱉어냈다.
“없어요, 가족.”
...
병원에서 나와 보니 하늘이 또다시 비를 쏟아내고 있었다.
올해의 도항시는 유독 비 내리는 날이 잦은 것 같았다.
채시아는 정처 없이 거리를 거닐다 문득 언제 갑자기 청력을 잃게 될지 몰라 충동적으로 티켓을 사 그녀를 어릴 때부터 돌봐줬던 오경숙이 있는 시골로 향했다.
그녀가 시골에 도착했을 때는 벌써 저녁 9시였다.
채시아는 막상 집 앞에 도착하고 나니 문을 두드릴 엄두가 나지 않았다. 그간 줄곧 윤성빈만 챙기느라 오경숙과는 자주 만나지도 못했을뿐더러 만나도 30분도 안 돼 바로 집으로 돌아가야 했으니까.
그렇게 한참을 집 앞에 서 있는데 갑자기 문이 절로 열리며 오경숙이 밖으로 나왔다.
오경숙은 채시아를 보자마자 세상을 다 가진 듯한 얼굴로 활짝 웃었다.
“시아야!”
채시아는 그 미소에 코끝이 찡해져 그대로 그녀를 와락 끌어안았다.
“보고 싶었어요...”
오경숙은 건강상의 이유로 여태 결혼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당연하게도 아이도 없다.
그러나 그녀에게는 마음으로 낳은 채시아라는 딸이 하나 있었다.
그리고 채시아도 최익순보다는 오경숙을 더 엄마처럼 생각하고 있다.
오경숙은 채시아의 상처받은 마음을 감지한 듯 그녀의 어깨를 다정하게 토닥여주었다.
“우리 시아가 왜 이렇게 힘이 없을까? 뭔 일 있었어?”
채시아가 약한 모습을 보인 적은 많이 없다. 제일 마지막에 슬픔을 토로했을 때도 채건우 장례식 때였다.
“아니요.”
채시아는 고개를 저었다.
“아무 일도 없었어요. 그냥... 그냥 아주머니가 보고 싶어서...”
오경숙은 얘기하고 싶지 않아 하는 그녀의 마음을 눈치채고 더 이상 묻지 않았다.
“나도 우리 시아 너무 보고 싶었어. 근데 너 몸이 왜 이렇게 차? 옷은 왜 젖어 있고?”
오경숙은 채시아를 얼른 집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서는 샤워부터 하게 했다.
그날 밤.
채시아는 마치 어릴 때로 돌아간 것처럼 오경숙의 품에 꼭 안겼다.
오경숙은 잠옷으로 갈아입은 채시아를 끌어안았다가 그제야 그녀의 몸이 심각하게 말라 있다는 것을 눈치챘다.
뼈밖에 남지 않은 듯한 등을 쓰다듬고 있자니 울화가 치밀어 올랐다.
하지만 화를 내면 채시아가 속상해할 게 분명했기에 오경숙은 마음을 다시 가라앉히고 조심스럽게 물었다.
“시아야, 성빈이는 어때? 너한테 잘해줘?”
채시아는 그 말에 습관적으로 그렇다 하려다가 다시 말을 삼켰다.
윤성빈의 곁을 떠나기로 한 이상 더 이상의 거짓말은 아무런 의미도 없었으니까.
“성빈 씨가 좋아했던 사람이 돌아왔어요. 그래서 이제 그만 놓아주려고요. 나, 성빈 씨랑 이혼할 거예요.”
오경숙은 그녀의 말에 깜짝 놀라며 등을 토닥이던 손도 뚝 하고 멈췄다.
그도 그럴 것이 그간 한번도 아니고 여러 번이나 윤성빈과 평생 검은 머리 파뿌리 될 때까지 함께 할 거라고 얘기했던 그녀였으니까.
채시아는 오경숙이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자 다시금 그녀를 더 꽉 끌어안으며 물었다.
“나도 평생 혼자 살까 봐요.”
‘그 누구와도 결혼하지 않고 윤성빈이 말했던 것처럼 평생 외롭게...’
오경숙은 채시아의 말에 가슴이 다 갈기갈기 찢기는 것 같았다.
“그런 소리 하지 마. 앞으로 살아갈 날이 얼마나 많은데. 윤성빈 말고도 널 사랑해주고 아껴줄 사람 널리고 널렸어.”
채시아는 고개를 끄덕이며 천천히 눈을 감았다.
짝사랑만 어언 12년, 채시아는 누군가를 사랑하는 게 얼마나 힘들고 고된 일인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리고 만신창이가 된 지금의 자신 같은 걸 좋아해 줄 남자는 어디에도 없다는 것 또한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채시아의 눈에서 소리 없는 눈물이 떨어져 내렸다.
다음날.
채시아는 비몽사몽 한 채로 눈을 뜨며 윗몸을 일으켰다. 이리저리 두리번거리는 것이 꼭 자신이 왜 여기 있는지 모르겠는 사람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