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96화
헌신짝을 목에 걸고 있는 임서아의 꼴은 말이 아니었다.
6년 동안 남들이 감히 바라볼 수도 없는 서씨 집안의 외손녀 이미지를 유지해 왔건만, 한순간에 모든 걸 잃었다.
흩어진 머리카락들과 목에 헌 신짝을 걸고 두려움에 땀 범벅이 된 그녀는 그토록 초라했다.
이렇게 보니 임서아는 목에 헌 신짝을 걸고 떠도는 바람난 여자들과 다름없었다.
그 여자들은 결코 원해서 그렇게 된 것은 아니었을 거지만 임서아는 달랐다.
임서아는 본인이 원했다.
임서아는 우세에 있을 때면 주도권을 잡고 판을 흔들고 약세에 처하면 바닥에 납작 엎드리는 비열한 사람이다.
어쩌면 기생충보다도 못한 인간이다.
지금, 이 순간까지도 살겠다고 웃을 수 있는 걸 보면 말이다.
멀리서 누군가가 그 장면을 고스란히 촬영해 지인들에게 전송했다.
“남성의 재벌가 임서아가 부소경의 정혼자라고 떠들어대다 이 꼴 났어. 그러고는 목에 헌 신짝을 걸고 부소경의 진짜 여자한테 저렇게 빌어대네. 너무 웃겨. 사진 보내 줄 테니까 한번 봐봐.”
방관자는 문자와 함께 사진도 첨부해 보냈다.
소문은 빠른 속도로 퍼지기 시작했다.
얼마 안 가, 이 사진들은 서씨 집안 어르신한테까지 도착했다.
서씨 집안 어르신은 서울에서의 치료를 통해, 이제야 건강을 되찾기 시작했건만 임서아의 꼴을 보고 또다시 혈압이 상승했다.
서씨 집안 어르신은 비록 연세는 많았지만, 늘 외손녀의 혼사로 애를 태웠다.
평생 큰소리를 치며 살아온 서씨 집안 어르신은 젊었을 적에 군대에서도 알아주는 인물이다.
나이가 있은 뒤로는 문학을 즐겨하며 남성에서도 명망이 자자했다.
서씨 집안 어르신은 살인도 해 보았고 누명을 쓰기도, 씌워보기도 했지만, 마음속에 두고 원망하지 않았다.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뿐이니 말이다.
하지만 하나밖에 없는 딸은 제외였다.
서씨 집안 어르신은 늘 그녀가 첩실의 아이라고만 생각해 큰 관심을 주지 않았지만, 사실 그녀가 바로 아내와의 유일한 딸이었다.
그녀는 평생 아버지의 무시와 친엄마의 괴롭힘 속에서 20년을 버티다가 집을 나갔다.
그때

Klik untuk menyalin tautan
Unduh aplikasi Webfic untuk membuka konten yang lebih menarik
Nyalakan kamera ponsel untuk memindai, atau salin tautan dan buka di browser seluler Anda
Nyalakan kamera ponsel untuk memindai, atau salin tautan dan buka di browser seluler A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