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920화
원경릉은 고지를 의심했다.
“어쨌든 고지한테 제대로 물어봐야겠어.”
“너무 신경쓰지 마. 정화군주도 말했잖아 고지가 한 말에 열에 하나만 진짜라고, 혹시 알아 고지가 일부러 널 자극하려고 그러는지도 모르잖아?”
“나도 고지 말을 믿는 건 아냐. 하지만 부친께 물어보기 전에 고지한테 사실 확인을 해야겠어.”
“그래, 네가 정 그렇다면 불러서 물어봐. 근데 조심해야 해. 고지는 환술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니까.”
원경릉은 우문호의 어깨에 기대어 한숨을 내쉬었다.
“예, 알겠습니다. 전하! 근데 오늘 뭐 하러 갔어? 하루종일 못 본 것 같아.”
“오늘 예부(禮部)에 다녀왔어. 아이들 이름을 지어야 하는데 뭐라고 지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 예부에서도 부황께서 아직 이름을 정하지 않았다고 기다리라는데. 휴, 벌써 며칠째 아이들 이름도 못 부르니까 마음이 답답해.”
“이름은 부르기 쉬운 이름이 최고인 것 같아.” 원경릉은 아이들의 아명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그래, 그것도 좋지만…… 아냐 이름은 제대로 지어야 해.”
우문호는 말을 마치고 원경릉을 침상에 눕혔다.
“많이 걸어 다니지 마. 명심해 넌 갓 출산을 한 사람이라는 걸.”
“알겠어!” 원경릉이 옆으로 돌아눕더니 우문호의 손을 붙잡고는 “가지 마. 옆에 있어줘.”라고 말했다.
우문호는 그녀의 옆에 앉아 그녀를 살포시 안아주었다.
“최근에 내가 너무 바빴지? 부중에 일도 많고, 만나야 할 사람들도 많아서 그랬어. 미안해.”
원경릉은 그를 빤히 보더니 입을 삐죽거리더니 장난기 가득한 얼굴로 웃었다.
“우문호 씨, 태자가 되더니 소감이 어떠십니까?”
“태자가 된 후에 일도 많고, 접대도 너무 많고, 사람도 많이 만나야 하고…… 근데 은화는 많이 주니까 그거 하나 좋다. 근데 너무 밝혀도 속물이라고 생각하겠지?”
“은화야 많으면 많을 수록 좋고! 우리 왕부에는 은화가 부족하니까, 어쩔 수 없지.”
구두쇠 원경릉이 음흉한 미소를 띠며 부드럽게 말했다.
“부족해? 큰형한테서 받아온 구만냥하고 태상황께서 주신 십 만금(金)

Klik untuk menyalin tautan
Unduh aplikasi Webfic untuk membuka konten yang lebih menarik
Nyalakan kamera ponsel untuk memindai, atau salin tautan dan buka di browser seluler Anda
Nyalakan kamera ponsel untuk memindai, atau salin tautan dan buka di browser seluler A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