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997화
눈늑대봉에는 사당이 하나 있었는데 태상황 시절에 자운묘로 개명했다.
자운묘 스님은 자신을 스스로 설산과 눈 늑대를 지키는 사람이라고 해 왔는데, 눈늑대봉이 조정에 의해 성스러운 산으로 봉해지자, 더 큰 책임감을 느끼고 황실을 대신해서 눈늑대봉을 지켰다.
눈늑대봉 위에는 나이 든 승려 몇 명만 살고 있었다. 처음 여기 온 사람은 호국사 스님으로 나중에 호국사에서 몇 명이 연달아 왔으나 이제 더 이상 젊은 스님은 오지 않았다. 자운묘의 주지는 상당히 엄격해서 덕행이 높지 않거나 수행이 미치지 못하면 절대 올 수 없기 때문이었다.
자운묘 스님 중 제일 젊은 스님의 나이도 올해 60세였다.
황제와 황후가 자운묘에 왕림하자 주지인 덕방 스님이 직접 다른 스님들을 데리고 맞으러 나왔는데 총 다섯 명이었다.
주지는 황제와 황후를 안으로 맞아들인 후 쓰고 떫은 산 차를 올렸다. 원경릉은 아직 제정신이 아닌 상태였는데 이곳의 모든 것에서 이리봉청의 숨결과 원념을 느낄 수 있었다.
원경릉은 한 걸음씩 천천히 자운묘 전체를 돌았고 우문호와 서일도 원경릉을 따라 한 바퀴를 돈 뒤 앉아서 차를 마시며 36년 전 일을 물었다.
황제가 주지에게 36년 전에 여자 하나를 구한 적이 없는지 묻자, 덕방스님은 화들짝 놀라며 낫빛이 급격히 어두워졌다. “… 36년 전의 여자 말씀입니까? 폐하께서 어찌 그 일을 알고 계시는지요?”
우문호는 원하는 대답을 듣자 한시름 놓았다. 이리봉청이 구조된 것이 정말 맞았다.
“주지, 아는대로 짐에게 말하시오. 절대 숨겨서는 아니 될 것이오!” 우문호가 원경릉의 손을 잡고 주지에게 말했다.
주지가 깊은 한숨을 쉬더니, “이 일은 소승이 평생 저지른 일 중 가장 큰 잘못으로 지금 돌이켜보니 그 남자 시주께 정말 미안할 따름입니다!”
“남자 시주? 여자가 아니고?” 우문호가 당황했다.
그러자 주지는 바로 당시 일을 흥미진진하게 풀어놓았다. “그 해는 몹시 추웠습니다. 물을 뿌리기만 하면 바로 얼 정도였죠. 입동 전에 거둬서 묻어 놓은 채소는 제대로 처리를 못 해

링크를 복사하려면 클릭하세요
더 많은 재미있는 컨텐츠를 보려면 웹픽을 다운받으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