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338화
역시나 반대의 목소리가 곧바로 터져 나왔다!
하지만 우문호는 여전히 침착했다. 반대가 있을 줄 이미 예상하였기에, 새로운 정책을 추진할 때마다 항상 수많은 반대에 부딪히는 것은 익숙한 일이었다.
그는 천천히 물 한 모금을 마시고, 목여 태감에게 물러나라고 지시한 뒤, 위에서 신하들의 격렬한 토론과 흥분된 반응을 차분히 지켜보았다.
우문호가 혼인 제도를 개혁하려는 이유는 처가 쪽 세계를 보고 배운 것이 아닌, 그가 어릴 적부터 경험해 온 삶 때문이었다.
열셋, 열네 살의 아이들이 세상 물정을 어찌 알겠는가?
게다가 열여섯, 열일곱은 한창 배우고 성장할 나이이며, 정신적으로 아직 미숙했다. 물론 특별히 총명한 아이도 있겠지만, 혼인 제도는 그저 북당 전체 백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기준을 따져야 했다.
원경릉이 지내던 세상도, 오래전에는 북당처럼 명을 따르고 마음을 따르지 못하는 혼사가 당연시되었기에, 평생 사랑이란 감정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고 했다.
물론 편히 지내려면, 부모님이 정해주는 혼사가 좋을수도 있다. 하지만 인간은 단순히 살아가기만 하는 존재가 아닌, 감정이 있는 존재이다.
비록 명을 따르는 혼사도 사모하는 자와 함께할 수 있었지만, 확률이 매우 낮았다.
귀족에게는 문벌이 맞는 혼인이 중시되었고, 백성에게는 일 잘하고 아이를 잘 낳는 사람이 중요했기에, 감정을 논하는 사람은 점점 없어질 정도였다.
더불어 나라도 부유해졌으니, 정신적인 영역도 함께 성장해야 했다.
물론 우문호도 이 정책이 단기간에 시행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누군가는 반드시 이 문제를 제기해야 했다. 영원히 깨지지 않는 법칙은 없으며, 똑같은 방식으로만 나라를 다스리다 보면 언젠가는 쇠퇴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논란이 일어나는 것은 오히려 좋은 일이다. 정책을 내놨을 때, 다들 아무런 반응도 없는 것이 오히려 더 위험한 신호였다.
충분한 논의가 진행되자, 우문호는 퇴조를 선언했다.
그러자 신하들이 일제히 냉 수보를 둘러싸고 황제를

링크를 복사하려면 클릭하세요
더 많은 재미있는 컨텐츠를 보려면 웹픽을 다운받으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