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지금 이천후에게 가장 시급한 건 수련을 통해 경지를 끌어올리는 일이었다. 그리고 그 수련에 앞서 반드시 도달해야 할 첫 단계가 바로 영동 극경이다.
이 순간 그의 몸속에서 아홉 개의 붉은 용광로가 아른거리며 모습을 드러냈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었다.
며칠 전 요심 요새에 틀어박혀 폐관한 끝에 겨우 아홉 개의 영동을 화속 용광로 형태로 정련해낼 수 있었지만 막상 열 번째 영동을 열려고 하자 보이지 않는 족쇄가 몸 안을 꽉 조여오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마치 천지의 법칙이 그에게 경고라도 하듯 ‘함부로 넘보지 말라’는 목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았다.
“영동 극경...”
이천후는 손바닥 위에서 타오르는 푸른 불꽃을 바라보며 낮게 읊조렸다. 이 족쇄를 깨뜨리지 못한다면 지금까지의 모든 계획은 전부 물거품이 될 것이다.
그는 지끈거리는 관자놀이를 문질렀다. 열 번째 영동이 도무지 열리지 않는 건 그의 체질이 약해서가 아니었다. 문제는 화역 지대의 가장자리에 흐르는 염기의 순도가 너무 낮아 하늘을 불태우고 바다를 끓일 정도의 강력한 에너지를 뒷받침해 주지 못한다는 데 있었다.
그의 시선은 멀리 신염산 중심부를 향했고 그곳에서 피어오르는 짙은 붉은 구름과 안개, 아마도 그 안에 숨겨진 원시 진화가 지금의 돌파를 위한 핵심 열쇠일지도 몰랐다.
하지만 지금은 무작정 덤빌 때가 아니었다. 최소한 당장의 급한 일부터 마무리한 후 시도해야 했다.
조화보주에서 만물의 근원적 기운이 흐르자 황촌의 상공에 드리웠던 안개가 이전보다 훨씬 짙어졌다.
이천후는 하늘의 보물이 미친 듯이 천지 정기를 삼키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 마을 입구의 고목 뿌리 사이를 흐르던 어두운 금빛 부문들이 백 리 안의 기운을 샅샅이 봉쇄하고 있었다. 숨 하나 새어나가지 않도록 말이다.
“부광 성자, 안으로 드시죠.”
그는 말없이 손을 들어 마을 입구 바위벽을 세 번 두드렸다. 순간 이끼로 덮여 있던 암벽이 물결처럼 일렁이며 사라졌고 그 뒤엔 마치 세월을 비껴간 듯한 푸른 돌길이 모습을 드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