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859화
원경병과 수아
“그럼 왜 그렇게 고민하셨어요?” 문영공주가 물었다.
“이렇게 많은 황자들 속에서 아직 젖을 먹고 있는 십황자를 빼고 나머지는 전부 왕으로 봉해져 나갔는데 네 여덟째 동생만 아직도 궁에 황자의 신분으로 남아 있어. 군왕으로 봉해지지조차 못하고 말이야. 나도 안다. 이렇게 괴로워해 봤 자 여덟째에게 도움이 안되는 거. 하지만 뭐라도 하지 않으면 마음이 안정이 안 되는 걸 어쩌니.”
“어마마마 쓸데없이 괴로워하신 거예요.”
잠시 자기가 맞았는지 틀렸는지 차치하고, 자신은 존귀한 황후로 자기 아들은 사람들 중에서도 빼어난 용과 같은 존재여야 하는데 하나같이 다 못난 것이 자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황후는 아들들을 돕지 않고 운명을 인정했으나 나중이 되고 보니 왜 꼭 이렇게 죽음을 기다려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자기가 뭔가 해서 바꿀 수 있는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하고.
하지만 황후는 아버지가 황후를 폐하라고 청할 줄 생각 못했다. 만약 다른 사람이 주청을 했거나 심지어 황제가 성지를 내려 황후를 폐하려 해도 그녀는 울고불고 난리를 치며 죽자고 피했을 테지만 아버지 결정은 반박할 수 없다. 그저 받아들일 수밖에.
사식이가 근친하는 날 원경병이 딸 수아(秀兒)를 데리고 왔다.
수아는 구사를 닮아 쿨한 게 눈썹이 진하고 눈이 큰 전형적인 남자 같은 여자였다. 우문호가 특히 좋아하며 얘는 나중에 대성할 거라고 했다.
한동안 동생을 보지 못했지만 걱정되는 정도는 아닌 게 가끔 사람을 보내 동생 상황을 물어봐 왔기 때문에 구씨 집안에 그 짜증나는 일이 있던 것도 알았다.
“이제 집은 좋아졌지?” 원경릉이 물었다.
원경병이 상당히 성숙해서 옷 입는 것도 바뀌어 대담하고 귀티가 나는 게 안주인 같아서 유치한 눈빛이 없어지고 세상 물정을 아는 지혜와 침착함이 대신했다.
“정리된 셈이죠.” 원경병이 수아를 안고 뽀뽀하며 살짝 안도했다. 진짜 최근 일 이 년 참 힘들었다.
“그럼 됐어, 수아야, 이모한테 와.” 원경릉이 웃으며 말했다.
수아가 걸을

링크를 복사하려면 클릭하세요
더 많은 재미있는 컨텐츠를 보려면 웹픽을 다운받으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