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fic
더 많은 컨텐츠를 읽으려면 웹픽 앱을 여세요.

제8화

한 시간 뒤, 나는 해안대학교 병원 정형외과 응급실에 있었다. 머리카락이 새하얗고 인상이 무척 온화한 의사가 내 팔을 잡고 살폈다. 그가 옆에 서 있던 온화한 남자에게 고개를 끄덕였다. “팔이 빠졌네요.” 남자가 낮게 응대했다. “그러고 보니 선생님의 정골 수법이 유명했죠. 팔 좀 바로잡아 주시겠어요?” 계 선생이 의미심장하게 그를 보았다. “이 자식, 맨날 내 이름을 팔고 다니는 거 아니야?” 계 선생이 그러면서 내 팔을 천천히 돌리더니 물었다. “이 자식이 아가씨를 괴롭혔나?” 나는 남자를 힐끗 보고 급히 고개를 저었다. “아니에요, 아니에요. 저는... 저분을 몰라요.” 계 선생이 허허 웃었다. “몰라? 이 녀석을 모른다면, 왜 그렇게 아가씨 일에 안절부절못할까?” 오면서 그의 양복 깃을 부여잡고 눈물 콧물 다 쏟은 내 꼴이 떠올라, 나는 민망해서 고개를 숙였다. 곧 우지끈하는 소리가 났고, 비명 지를 틈도 없이 팔이 훨씬 가벼워졌다. 나는 놀라서 벌떡 일어나 팔을 움직여 보았다. ‘안 아픈데?! 어떻게 이렇게 신기해?’ 계 선생이 상냥하게 웃었다. “더 움직여 봐. 이제 괜찮아졌을 거야.” 나는 손을 천천히 뻗어 조심스럽게 한 바퀴 돌려 보았다. 정말 하나도 안 아팠다. 나는 허리를 굽혀 인사했다. “고맙습니다, 선생님!” 나도 바보는 아니다. 이 온화한 노인은 해안시에서 손꼽히는 정형외과의 명의다. 관절로 이름이 나서 거물들도 문제만 생기면 필사적으로 그를 찾는다. 계 선생은 의술로 베푸는 마음이 넉넉해, 매주 나오는 예약 수 대부분을 일반 환자에게 돌린다. 비용도 건당 200원. 50여 년을 의술에 몸담으면서, 그는 병만 고칠 뿐 이익을 좇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켜 왔다. 그의 손에서 난치가 나은 환자만도 수만 명은 될 것이다. 그런 진료 철학 덕에, 그에게 단독으로 끼어들어 진료를 받는 건 하늘의 별 따기다. 나는 문득 옆에서 연신 미소를 머금고 있는 남자를 바라보았다. 나이는 대략 스물일곱, 스물여덟쯤. 연승훈보다 더 성숙하고 안정되어 보였다. 절제된 회색 슈트는 몸에 완벽하게 맞았고, 길고 곧은 체형의 비율이 눈에 들었다. 얼굴은 매우 단정하고 온화했으며, 안경이 곧은 콧날에 얹혀 있어 눈매가 더 깊어 보였다. 그는 조금 전까지도 계 선생과 가볍게 담소를 나누며, 한 동작 한 동작이 여유롭고 조화로웠다. 나는 원래 연승훈이 내 생에서 본 가장 잘생긴 남자라고 여겼다. 냉혹하고 예리하며, 신이 막으면 신을 베고, 부처가 막으면 부처를 벨 듯한 남자 특유의 강렬함이 있었다. 하지만 눈앞의 이 남자는 연승훈과 전혀 다른 결의였다. 용모만 놓고 보면 서로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연승훈이 칼집에서 뽑힌 보검이라면, 이 남자는 절창의 수묵화 한 권 같았다. 연승훈이 한 자루 검빛으로 세상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면, 이 남자는 만물을 품어 쓰는, 넉넉하고 유순한 기풍이었다. 누가 더 잘났다고 딱 잘라 말할 수는 없지만, 지금 이 순간의 나는 이 남자의 온화하고도 침착한 분위기가 더 마음에 들었다. 남자가 말을 멈추고 나를 한 번 보더니 문득 물었다. “지안아, 또 어디 불편한 데 없어?” 나는 멍하니 있다가 무심코 고개를 저으려다 이내 끄덕였다. 계 선생이 미간을 살짝 모았다. “얼른 보자. 작은 병도 키우면 큰 병 돼.” 나는 어젯밤 부딪힌 허리와 발을 내보였고, 마지막으로 뒤통수도 만져 보게 했다. 계 선생은 아주 진지하게 진찰했다. 그는 진찰하며 고개를 저었다. “에구, 어린 아가씨가 어쩌다 이렇게 많이 다쳤대. 허리는 자칫하면 골절 날 뻔했네. 약간 어긋났으니 이따 정골해 줄게. 다리는... 다행히 삐었을 뿐이네. 그런데 이 뒤통수는...” 계 선생이 만지더니 갑자기 버럭했다. “아가씨는 몸을 아끼는 마음이 하나도 없나?” 나는 화들짝 놀라 말까지 더듬었다. “저, 저...” 계 선생은 못마땅한 표정으로 처방을 적었다. “머리에 골절이 있고, 안쪽에는 부종도 있어. 아가씨는 목숨이 두 개인 줄 알고 사는 거야? 부종이 완전히 가시지 않으면 큰일 나. 그런데도 남하고 싸워서 팔이나 빠지고... 참 기가 막히네.” 계 선생은 성을 내며 중얼거리면서도 처방은 번개같이 써 내려갔다. 나는 혼이 나자 눈가가 또 붉어졌다. 나 스스로도 상처가 이렇게 심한 줄 몰랐다. 기억을 잃기 전, 내가 다쳐 입원했을 때도 연승훈은 한 번도 보러 오지 않았다. 그의 성가신 여자 비서는 내 상태가 조금만 나아지자 곧장 퇴원을 재촉했다. 나는 생각할수록 서러워져서 계 선생의 곁에서 혼난 아이처럼 고개를 푹 숙였다. 그때 남자가 부드럽게 나서서 어색함을 풀었다. “선생님, 그렇게 말씀하지 마요. 얘가 몰라서 병도 다 낫기 전에 퇴원했을 거예요. 일부러 그런 거 아니에요. 누가 자기 몸을 이렇게 만들고도 병원에 안 오겠어요?” 계 선생은 처방을 마치고 얼굴빛이 조금 누그러졌다. 그는 내가 금방이라도 울 것 같은 것을 보더니 다독였다. “괜찮아, 괜찮아. 울지 마. 아까 올 때는 아가씨 우는 소리에 과 전체가 떠들썩했어. 이제 그만 울어야지.” 그러고는 남자를 흘겨보았다. “망나니 같은 자식, 당장 데리고 가서 약 바르고 물리치료 받아! 그리고 허리는 사흘 연속으로 와. 내가 직접 침놓지 않으면 탈이 남을 거야.” “네, 네, 알겠습니다.” 남자는 급히 나를 이끌고 처치실로 향했다. 진료실을 벗어나자, 우리 둘은 동시에 한숨을 내쉬었다. 너무 무서웠다. 해안시에서 명의로 이름난 분이 화를 내면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나는 미안해서 남자를 바라보았다. “미안해요... 그... 이름을 못 물어봤네요.” 나는 어색해서 손톱을 다 닳아 없어질 지경으로 만지작거렸다. 머리 위로 남자의 가벼운 웃음이 떨어졌다. “나를 잊었어?” 나는 놀라 고개를 들고 더더욱 어리둥절했다. “진짜 기억 안 나요. 이름이 뭐였죠?” 남자가 살짝 웃으며 아주 다정하게 말했다. “나 네 오빠 유승기 알아. 너 어릴 때 나를 맨날 나무 오빠라고 불렀지.” ‘나무 오빠?’ 나는 멍해졌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파도처럼 몰려왔다. 한동안 오빠 곁에 마른 체구에 금테 안경을 낀 남자애가 있었던 것이 어렴풋이 떠올랐다. 그 남자애는 말수가 적었고, 말해도 늘 낮은 목소리였다. 나는 몇 번이나 호기심에 먼저 다가가 보려 했지만, 그에게서 풍기는 냉담한 기운에 슬그머니 물러나고는 했다. ‘나중에 오빠가 그 사람 이름이 남우... 뭐라고 했던가? 그래서 내가 장난삼아 나무 오빠라고 불렀지.’ 나는 조심스레 물었다. “그... 나무 오빠?” 남자가 미소 지으며 손을 내밀었다. “나는 고우빈이야. 네가 기억하는 남우빈 아니고, 고우빈.” ‘아...’ 내 얼굴이 달아올라, 급히 손을 내밀어 가볍게 잡았다가 놓았다. “안녕... 아까는 미안...” 나는 더 인사말을 하려 했지만, 이미 내 차례가 되어 약을 발라야 했다. 나는 고개를 끄덕여 고우빈에게 사과의 뜻을 전하고 서둘러 안으로 들어갔다. 잠시 후, 약을 다 바르고 나오니 내 어깨는 통째로 찰떡처럼 감겨 목에 붕대를 걸었다. 웃기게 생기기는 꽤 웃겼다. 약과 처방을 들고나오다가, 바깥에서 못마땅한 얼굴로 기다리고 있는 연승훈을 보았다. 그는 내 어깨의 붕대를 보더니 잠시 멈칫했고, 곧바로 표정을 싸늘하게 굳혔다. 그가 성큼 다가와 내 팔을 잡으려 했다. 나는 놀라 몇 걸음 물러섰다. “오지 마.” 연승훈이 걸음을 멈추고 화를 참으며 말했다. “유지안, 가서 사과해. 박서연은 네가 사과만 하면 신고는 안 하겠다고 했어.” 그의 말투에는 짜증이 가득했다. “하루가 멀다고 사고만 치네. 너 정말 지긋지긋하지도 않냐?”

© Webfic, 판권 소유

DIANZHONG TECHNOLOGY SINGAPORE PTE.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