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423화
신화선의 얼굴에도 한결 여유가 돌았다.
“신희 몸 좀 좋아지면, 유정아, 너도 이 집으로 다시 들어와. 계속 밖에서 사는 건 나도 마음이 놓이지 않아.”
예전엔 유정이도 유지태, 신화선을 참 좋아했다. 학교에 다닐 때는 신화선이 매주 전화까지 걸어오곤 했다.
유정은 유신희에게 조금 편파적인 건 알면서도, 신희가 몸이 안 좋으니 다들 신경을 더 쓰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신화선이 자신에게 해주는 걱정과 인사는 늘 어딘가 가볍고 형식적이었고, 신희에게 보여주는 애정만이 진심이었다는 걸 점점 깨달았다.
유정이 집을 나간다고 말하자, 조엄화가 웃으며 말했다.
“네가 이렇게 나가면, 나도 많이 섭섭해할 거야. 자주 들르렴!”
이에 유정은 담담하게 웃었다.
“여기는 제 집인데 당연히 자주 오죠.”
그 말에 조엄화가 입꼬리를 올리며 말했다.
“맞아!”
다들 있는 공간을 나와서 유정이는 자신의 방으로 돌아가 짐을 챙겼다.
서은혜는 한편으로는 이런 충동적인 결정을 내린 걸 나무라면서도, 한편으로는 독립하게 된 유정에게 몸 잘 챙기라고 당부했다.
유정은 자기 부모가 안쓰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딸을 사랑하면서도, 그딴 현실에서 지켜낼 힘은 없어서, 결국 푸념만 늘어놓는 그 모습이 말이다.
그러다 문득 생각난 게 있어 서은혜에게 옷 정리를 부탁하고, 자신은 뒷마당으로 내려갔다.
집에서 키우는 두 마리의 개는 모두 대형견이었다. 한 마리는 도베르만, 또 한 마리는 래브라도였다. 두 마리 개는 각각의 우리 안에 웅크리고 있다가 유정을 보자마자 일어났다.
유정이 철문을 열자 래브라도가 곧장 달려오자, 유정은 몸을 반쯤 낮추고 그 귀를 잡아당기며 비웃듯 말했다.
“지금은 왜 짖지도 않아? 내가 밤에 들어올 땐 왜 그렇게 떠들더니? 내 발소리가 익숙하지 않아서야, 아니면 내 차 소리가 생소해서 그랬던 거야?”
이 래브라도는 원래 유정이가 데리고 온 개였고, 석 달 전까지도 직접 돌보며 정을 쌓은 아이였다 그래서인지 유정이의 손바닥을 코로 슬며시 밀며, 여전히 순

링크를 복사하려면 클릭하세요
더 많은 재미있는 컨텐츠를 보려면 웹픽을 다운받으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